02. 자격증/07. 특급 소방안전관리자

경계구역 설정 기준 설명(수평)

좐 송 2025. 5. 20. 23:08
반응형

 

 

경계구역 설정 기준 설명

이산화탄소 소화설비, 자동화재탐지설비 등에서 적용되는 경계구역의 설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. 이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한 탐지와 효과적인 소화제 분사 범위를 확보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.

1. 기본 원칙

■ 층별 기준

  • 총마다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한다.
  • 단, 2개의 층 면적 합이 500㎡ 이하일 경우,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.

■ 면적 기준

  • 600㎡ 이하로 설정해야 한다.
  • 단, 주된 출입구에서 건물 내부 전체가 보일 경우, 한 변의 길이가 50m 이내이고 전체 면적이 1,000㎡ 이하일 경우 예외적으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.

■ 한 변의 길이 기준

  • 50m 이하로 설정해야 한다.

2. 예시 설명

  • 가로: 55m
  • 세로: 10m
  • 면적: 10m × 55m = **550㎡**로서 면적은 600㎡ 이하이므로 기준에 부합한다.
  • 하지만 한 변의 길이가 55m로 50m를 초과하므로 최소 2개의 경계구역으로 나누어야 한다.
반응형